왕상휴수사(旺相休囚死)
能知衰旺之眞機. 其于三命之奧. 思過半矣
쇠 왕 의 참 기틀을 능히 안다면 삼명의 깊은 이치를 반은 넘은 것이다.
(적천수에 있는 글귀로 쇠왕을 판단할 수 있으면 사주공부가 절반은 넘은 것이라는 말이다.)
1. 포태법(胞胎法, 십이운성十二運星)
십이운성은 왕상휴수를 판단하는 기본원리로 완전히 암기해놓아야 한다.
십이운성은 왕상휴수를 세분화한 것이다. 용신으로 보는 것이 가장 긴요하다.
(相) 생生, 욕浴, 대帶
(旺) 관官, 왕旺, 쇠衰
(休) 병病, 사死, 묘墓
(囚) 절絶, 태胎, 양養
양포태(陽胞胎)란 일간이 陽干일 경우이고
음포태(陰胞胎)란 일간이 陰干인 경우로서
일주강약, 오행강약을 따질때는 양포태만 쓴다. 예컨대 乙木일주일 경우 亥에서 死, 午에서
生이라고 하는데 亥는 水로 木을 生하는 정인인데 어찌 死할 것이며 午는 木이 설기가 심하여
쇠약해지는데 어찌 生이 될 것인가. 이는 육친법과 오행왕상휴수의 정법에 맞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음포태법을 쓰지 않으면 음양동생동사(陰陽同生同死)설로 보는 것이다.
그런데 고서에 따라서는 음포태를 쓰기도 하였다.
음포태법을 쓰지않은古書 : 적천수(천미), 명리약언, 연해자평(일부)
음포태법을 사용한 古書 : 삼명통회, 자평진전
이 음포태문제는 명리학의 아킬레스건으로 누구도 확실한 논거로 속시원히 해결하지 못했으니 명리학의 앞으로의 과제라 할 것이다.
ㅇ양포태(陽胞胎) - 인신사해 장생(長生), 자오묘유 제왕(帝王), 진술축미 묘고(墓庫)
ㅇ음포태(陰胞胎) - 자오묘유 장생(長生), 인신사해 제왕(帝王), 진술축미 묘고(墓庫)
로 무료 제작된 홈페이지입니다. 누구나 쉽게 무료로 만들고, 네이버 검색도 클릭 한 번에 노출! https://www.modoo.at에서 지금 바로 시작하세요. ⓒ NAVER Co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