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희신기신
용신(用神) : 중화를 이루는데 가장 필요한 오행
희신(喜神) : 일주가 기뻐하는 오행. 용신을 돕는 오행
(용신희신은 대동소이하니 총칭하여 용신 또는 희신이라고 한다.)
기신(忌神) : 태왕하고 설기되지 않는 오행, 용신을 극하는 오행
구신(仇神) : 희신을 극하는 오행 또는 기신을 돕는 오행
(기신구신은 대동소이하니 총칭하여 기신이라고 한다.)
한신(閑神) : 때로는 용신을 돕고 때로는 기신을 돕는다.
1) 순용(順用)
(1) 木일간이 태왕하여 설기하는 火를 용신으로 삼았을 때
火를 생하는 木이 희신이 아니다. 土가 희신이 된다. 水木기신. 金한신.
(2) 木일간이 신약하고 금이 태왕하면 金을 제압하는 火를 용신으로 삼았을 때 木희신. 金土기신. 水한신.
2) 역용(逆用)
(1) 木용신, 水희신(이 경우 수목용신이라고도 함.)인데 신약이면
木을 극하는 金土기신. 火한신
(2) 木일간이 신왕하여 木을 제압하는 金을 용신으로 삼았을 때
金을 생하는 土가 희신. 水木기신. 火한신.
3) 용신찾는 요령
(1) 忌神을 먼저 찾으라. 太旺하고 유통되지 않는 오행이 있으면 이것이 忌神이다. 이 때는 이 忌神을 제압하는 오행 또는 설기하는 오행이 용신이다.
(2) 太旺한 오행이 보이지 않고 모두 힘이 비등하면 이 때는 중화를 이루는 오행을 찾는다. 음양의 중화, 오행의 중화, 일주의 중화에 의한 억부법으로 찾는 것이다. 일간의 억부로 보면 돕는 인성 또는 비겁용신이고 신왕하면 제압하는 관성, 설기하는 식상이 용신이다.
2. 별격(別格)에 의한 용신판단
격국편에서 살펴본 별격은 강약과 조후를 불문하고 우선하여 판단합니다.
즉, 사주의 구성이 일방적으로 한 오행에 집중되면 그 기세를 꺽을 수 없으므로 순기세(順氣勢)하여야 하기 때문입니다.
종격의 경우 종재격은 재성, 종관격은 관성, 종아격은 식상을 용신으로 삼습니다.
단, 그 세력이 지나치면 설기해야 하므로 종재격은 관성을 용신, 재성을 희신으로 삼을 수도 있습니다. 나머지도 마찬가지입니다.
종세격은 식상과 재성, 관성이 세력이 비등하므로 그 가운데인 재성을 용신으로 삼습니다.
종왕격은 당연히 비겁을 용신으로 삼아야겠지요.
화격의 경우도 합신(合神)을 용신으로 삼으나 태왕하다면 설기해야 하므로 합신을 희신으로 삼고
용신을 합신을 설기하는 오행으로 삼습니다.
양기성상격은 세력이 강한자를 설기하는 쪽을 용신을 삼으면 됩니다.
3. 조후에 의한 용신판단
조후가 문제되는 것은 여름과 겨울철입니다. 봄가을에는 선선하므로 문제될 것이 없습니다. 물론 봄가을철이라도 나머지 글자가 모두 추운 글자나 더운 글자로 구성되었다면 이 역시 조후를 따져야 합니다.
일주가 丙丁火인데 巳午未월에 태어났거나 일주가 壬癸水인데 亥子丑월에 태어났다면 일단 조후용신을 따져보아야 합니다. 조후용신에 해당하면 강약을 불문하고 조후용신에 의합니다.
조후의 영향력이 크기 때문입니다.
4. 중화와 용신
중화란 음양오행(陰陽五行)이 서로 견제와 균형을 이룬 것을 말한다. 음양오행이 서로 적당한 견제와 균형을 이루고 소통이 잘 되면 사주가 中和되었다고 하고 이렇게 中和가 되었을 경우 발복이 되는 것이다.
대부분의 사주가 偏枯한( 힘이 한쪽으로 편중된 ) 경우가 많다. 대운세운에서 약한 쪽의 힘을 도우면 힘의 균형을 이루어 中和가 되어 發福하는 것이고 강한 쪽의 힘을 도와 더 편고해지면 흉한 것이다.
1) 음양의 중화
음양의 중화란 사주에 陰氣와 陽氣가 적절히 배분되어 중화를 이룬 것이다.
(1) 木火와 金水
陽氣는 木火의 기운이고 陰氣는 金水의 기운이다. 이것이 적절히 배분되어 균형을 이루면 좋은 것이다.
사주가 대부분 木火로 되어 있고, 金水가 없거나 미약하다면 陽氣로 치우친 것이다. 반대로 金水가 대부분이고 木火가 없다면 陰氣로 치우친 것이다. 운로에서 치우친 반대편의 힘을 도와야 좋은 것이다.
(2) 춥고더움(寒暖)
일단 태어난 달이 巳午未월이거나 亥子丑월이면 조후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寅월(입춘 ~ 우수)은 비록 봄철이나 아직 추우므로 조후가 필요하다.
申월(입추 ~ 처서)은 비록 가을철이나 아직 더우므로 조후가 필요하다.
겨울철(亥子丑月)에 태어난 金水木은 얼어붙었으니 木火로 따뜻하게 해주어야 한다.
여름철(巳午未月)에 태어난 木火土는 더우니 金水로 식혀주어야 한다.
卯辰申酉戌월은 기후가 적당하므로 그다지 조후가 필요치 않다.
(3) 마르고 습함(燥濕)
지지가 巳午寅卯, 未戌燥土로 이루어지고 천간에 丙丁甲乙, 戊土로 되어 있으면 조(燥)하니 水, 辰丑濕土가 필요하다. 이 때 일주가 金이면 濕土가 절실히 필요하다.
지지가 亥子申酉, 辰丑濕土로 이루어지고 천간에 壬癸庚辛, 己土로 되어 있으면 습(濕)하니 火, 未戌燥土가 필요하다.
5. 오행의 중화
1) 日主의 中和
일주의 중화란 일주의 힘이 강하지도 않고 약하지도 않아 적절한 것을 말한다. 일주의 강약에 따른 억부법(抑扶法)을 설상방조(洩傷幇助)라 한다.
(1) 설(洩) - 태왕신왕
일주가 태왕(太旺)하여 일주의 기운을 설기하는 식상이 용신이다.
( 太旺이란? => 첫째, 印綬도 왕성하고, 比劫도 왕성하고 득령한 경우이다.
둘째, 지지에 비겁으로 방국을 이루고 천간투출한 경우이다. )
① 比劫이 태왕하고 印綬가 약하면 食傷용신. 財희신. (食神生財格, 傷官生財格)
② 財官이 없거나 미약하고 食傷이 있으면 食傷용신. 財희신.
③ 印綬가 태왕하고 比劫이 약하고 食傷이 있으면 財용신. 食傷희신.
④ 食傷이 왕성하고 財가 힘이 있으면 財용신. 食傷희신.(傷官用財格)
(2) 상(傷) - 신왕,중화
일주가 신왕(身旺)하면 일주를 제압하는 관성용신이다.
① 比劫이 왕성하고 인수가 약하고 官이 유력하면 官용신. 財희신.
② 比劫이 왕성하고 財,官이 모두 약할 때 財용신. 官희신. (財滋弱殺格)
(3) 방(幇) - 재다신약
食傷/ 財가 태왕하고 比劫이 약하면 비겁이 도와야 한다.
① 재다신약(財多身弱)이고 관성이 없거나 약하면 比劫용신.印綬희신.
② 比劫이 약하고 상관이 태왕하면 比劫용신. 印綬희신. (傷官用劫格)
(3) 조(助) - 신약태약
관살이 태왕하거나, 신약하고 인수가 힘이 있으면 인수로 도와야 한다.
① 살왕신약(殺旺身弱)이고 印綬가 있으면 印綬용신. 比劫희신. (殺重用印格)
② 상관태왕하고 財가 없고 印綬가 있으면 印綬용신. 比劫희신. (傷官用印格)
2) 오행의 中和
오행의 중화란 세력을 잡은 오행과 그 반대편의 오행이 서로 견제와 균형을 이룬 것을 말한다. 중화가 되지 않았을 때는 약한 오행이 운로에서 오면 균형을 이루어 발복한다.
(1) 木火가 當權하였을 때
① 金水로 균형을 이룬다.
② 土金으로 균형을 이룬다.
①과 ②를 쓰는 것은 신왕신약과 음양의 중화를 보고 판단한다.
(2) 火土가 當權하였을 때
① 水木으로 균형을 이룬다.
② 金水로 균형을 이룬다.
①과 ②를 쓰는 것은 신왕신약과 음양의 중화를 보고 판단한다.
(3) 土金이 當權하였을 때
① 木火로 균형을 이룬다.
② 水木으로 균형을 이룬다.
①과 ②를 쓰는 것은 신왕신약과 음양의 중화를 보고 판단한다.
(4) 金水가 當權하였을 때
① 火土로 균형을 이룬다.
② 木火로 균형을 이룬다.
①과 ②를 쓰는 것은 신왕신약과 음양의 중화를 보고 판단한다.
(5) 水木이 當權하였을 때
① 土金으로 균형을 이룬다.
② 火土로 균형을 이룬다.
①과 ②를 쓰는 것은 신왕신약과 음양의 중화를 보고 판단한다.
6. 용신의 진가(眞假)
진신(眞神)이란 득령(得令)하고 사령하였으며 천간에 투출한 神을 말한다.
眞神得用으로 忌神에 의해 파극(破剋)되거나 합거(合去)되지 않았으면 한평생 부귀한다. 용신은 힘이 왕성해야 하고, 용신이 미약하면 운로에 따라 길흉이 다단하다.
甲 己 丙 甲
子 丑 寅 子
壬 辛 庚 己 戊 丁
申 未 午 巳 辰 卯
庚 壬 戊 乙
戌 午 寅 酉
壬 癸 甲 乙 丙 丁
申 酉 戌 亥 子 丑
<< 단일용신, 삼용신(三用神) >>
용신은 일반적으로 용신1개, 희신1개가 되는것인데, 특수한 사주는 용신을 하나밖에 쓸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 용신을 3개 모두 쓸 수 있는 사주가 있다.
1) 單一用神(희신을 쓸 수 없는 경우)
억부에 의한 용신, 희신중에 조후법상 쓸 수 없는 것이 있으면 하나만 용신이 된다.
甲 己 戊 甲
子 丑 辰 辰
壬 癸 甲 乙 丙 丁
戌 亥 子 丑 寅 卯
2) 三用神 (용신, 희신, 길신)
(1) 별격 : 전왕격은 재관만 흉하고 식상, 비겁, 인수순으로 좋다.
(2) 신왕하고 격국이 淸하면 식상, 재, 관을 모두 쓸 수 있다.
(3) 관살이 태과할 때 인수, 비겁을 쓰고 일주가 힘이 있으면 식상도 길신 역할을 한다.
(예컨대 殺重用印格인데 食傷制殺格도 같이 성립하는 경우)